지역이 국가혁신을 이끌 수 있다면

“대덕연구단지 50주년입니다. 지역주도로 국가혁신 이끄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때입니다”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원장은 169회 대덕과학포럼에서 대전 과학산업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소개했다. 고영주 원장은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재직 중 지난 2020년 설립된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으로 임명돼 대덕연구단지와 지역의 융합정책을 설계해왔다.

고 원장은 올해 50주년을 맞이한 대덕연구단지의 성과와 지역과의 융합 바람을 소개했다. 아래는 주요 내용.

연구단지에 정부출연연구소와 기업, 관련기관 등이 집중 입주됐고 많은 성과를 냈다. 특히 특허를 보면 단독출원이 83%, 공동출원이 17%로 늘고 있다. 특허 중 전기기술이 28%로 가장 많았고, 대전시 전체 특허의 34%에서 기술융합현상이 늘어난다. 특히 바이오와 기계장치 부문에서 기술융합이 활발하다.

대전은 연구단지 덕분에 전국 혁신역량 1위다. 대전의 성장 산업을 분석하면 첨단바이오산업과 반도체산업 밸류체인이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역량과 신산업의 미스매치가 있다. 그래서 특구의 기술성과를 이전사업하거나 산학연의 출자사업을 시도하는 길에 대전시가 사업을 촉진하고자 한다.

대전 과학산업의 촉진을 위해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을 지난 2021년 4월, 과기부 및 기재부 등 7개 정부부처가 모여 세웠다. 앞으로의 산업은 산업과 영역의 경계가 무너지고 속도가 중요하다.

대덕특구는 입주한 지역 대전과 신속하고 긴밀하게 융합해야 한다. 그래서 대덕특구를 융복한 연구개발 혁신캠퍼스 개념으로 대전환하고 새로운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정주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그 허브는 현 대전과학산업진흥원 부지를 새로 꾸며 클러스터로 조성 예정이다.

특구의 딥테크를 지역에서 기획-개발-실증-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융합실증플랫폼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규제를 풀고 신산업 창출을 위한 융합을 위해 공간적 확장도 꾀한다. 또한 과학문화를 확산해 과학기술 활용과 창업을 독려한다. 이런 분위기를 만드는 대덕특구 50주년이 돼야 한다.

지역주도로 대전시장과 NST 이사장이 공동대표를 맡는 대덕특구재창조 위원회를 꾸리고 운영위원회와 워킹그룹들을 두고 대전과학산업진흥 종합계획을 준비한다. 방향은 국비사업 매칭에 치우친 예산확보를 지양하고, 국비를 직접 받아 자율적 사업추진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선 타당한 계획과 성과검증 시스템이 필요하다. 위원회가 만들 종합계획이 이것이다.

종합계획은 1)대전특화과학산업 육성 2)세계적 융합혁신거점 조성 3)지역기반 혁신인재 양성 4)사업화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중점전략으로 한다. 이런 목표는 그동안 안 해봤던 것이나 앞으로 절실하다. 지역주도 국가혁신체계는 앞으로의 방향이다.

아래는 발제를 두고 청중과의 대화 내용.

대덕특구는 대한민국의 연구기지다. 지역과의 협업이 생소할 수 있다. 그러나 융합과 실증을 정주지역과 함께 할때 성과발생 효과가 클 것이다. 그런 모델을 만들자는 것이다. 예로 화학연구원이 도운 청주의 기업이 1조 기업이 됐다. 그 기업은 인재확보가 충분해지면 더 성장할 수 있다. 이것이 지역균형발전이다.

현재 지역의 몰락이 심각하다. 특구 기술의 사업화를 지역과 같이 기획한다면 대전의 반도체 특화사업 창출도 가능하다. 공간 자금 인력 수급을 같이 투자하면 좋은데, 특구와의 스킨십이 대전의 강점이라 기업 생존율이 높다.

연구성과를 받아들일 지역의 역량이 아직 미비하다. 성과를 받아줄 기업이 들어와야 계획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해외기업이 많이 들어와야 한다. 벤처기업의 IP를 글로벌 대기업이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대전은 대형제조지역이 아니다. 해외에 통할 고부가가치 IP를 개발할 역량은 크다. 일본 후쿠오카는 외국인 창업이 매우 쉽다. 대전도 그런 수요와 실현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날 이종원 신임 대전과총회장이 취임했고 신임 부회장단이 임명됐다. 대전과총 위원회는 박윤원 전임 회장에게 감사패를 전했다.